AMD cpu 중 최강의 게이밍 cpu는? 7800X3D 9800X3D 9950X3D

우리 게이머분들이 항상 고민하는게 있죠.
바로 고성능 게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중요한 부품인 CPU의 선택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게임에서는 AMD가 강세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브랜드로 이번 기회에 정리하고 추천해 보려고 합니다~

AMD Ryzen 7 7800X3D, Ryzen 7 9800X3D, 그리고 Ryzen 9 9950X3D는 모두 게이밍에 최적화된 AMD의 3D V-Cache 기술 탑재 CPU입니다.
각기 출시 시점은 다르지만(7800X3D는 2023년, 9800X3D는 2024년, 9950X3D는 2025년 출시), 현재 고사양 게이밍 PC에서 최고의 성능을 내는 프로세서들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게임 성능, 가격, 전력 소모 및 발열, 게임 외 활용도의 네 가지 측면에서 이 세 모델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최신 벤치마크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5년 현시점의 정보를 정리했으니, 세 CPU의 강점과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AMD cpu 중 최강의 게이밍 cpu는? 7800X3D 9800X3D 9950X3D

주요 사양과 게임 성능 지표

CPU 모델아키텍처 (세대)코어/스레드베이스 클럭 / 부스트 클럭L3 캐시 용량TDP출시가 (USD)1080p 게임 성능지수
Ryzen 7 7800X3DZen 4 (Ryzen 7000)8코어/16스레드4.2GHz / 5.0GHz96MB120W$449 (약 60만 원)100 (기준)
Ryzen 7 9800X3DZen 5 (Ryzen 9000)8코어/16스레드4.7GHz / 5.2GHz96MB120W$479 (약 65만 원)110 (약 +10%)
Ryzen 9 9950X3DZen 5 (Ryzen 9000)16코어/32스레드4.3GHz / 5.7GHz128MB170W$699 (약 90만 원)112 (약 +12%)

*(게임 성능지수는 7800X3D를 100으로 보았을 때의 종합적인 1080p 게이밍 성능 상대치를 나타냅니다. 실제 게임별 성능 차이는 장르와 최적화에 따라 다르며, 상세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위 표에서 보듯 7800X3D9800X3D는 코어 구성은 같지만 세대 차이(Zen 4 vs Zen 5)로 클럭 속도와 IPC(클럭당 연산 성능)가 향상되었고, 9950X3D는 코어 수가 두 배로 늘어난 하이엔드 모델입니다.
이제 항목별로 세부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1. 게임 성능: 장르별 벤치마크와 실사용 후기

고사양 CPU들의 게임 성능을 논할 때는 어떤 장르의 게임인지에 따라 체감 차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MMO처럼 싱글 스레드 의존도가 높은 게임과, FPS처럼 초고프레임을 추구하는 게임, 그리고 전략 시뮬처럼 CPU 부하가 극심한 게임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세 CPU가 보이는 성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세 모델 모두 최고 수준의 게이밍 성능을 제공하지만, 9800X3D와 9950X3D는 기존 7800X3D 대비 소폭~두자릿수 정도의 프레임 향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장르별로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차이를 설명합니다.

출처 – 컴퓨존 공식사이트

MMORPG 및 대규모 멀티플레이 게임

MMORPG와 같은 대규모 멀티플레이 게임은 흔히 도시나 공격대(Zerg) 환경에서 CPU 부하가 급증하며, 순간 프레임 드롭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CPU의 싱글스레드 성능과 캐시 메모리 용량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3D V-Cache를 탑재한 이들 CPU는 특히 복잡한 연산이나 많은 플레이어를 처리할 때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파이널 판타지 XIV
    • Dawntrail 벤치마크 결과에서, Ryzen 7 7800X3D는 평균 약 350FPS 내외를 기록한 반면 9800X3D는 5~8% 가량 높은 370~380FPS 수준을 보여 새로운 최고 프레임 기록을 세웠습니다. Ryzen 9 9950X3D도 약 373FPS로 측정되어 9800X3D와 사실상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두 최신 CPU 간의 차이는 오차 범위 내일 정도로 미미했습니다.
      실제 플레이어들의 후기에 따르면, “9800X3D나 9950X3D로 업그레이드하니 도심지 인구 밀집 지역이나 레이드 시에도 프레임 드랍이 거의 없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다만 7800X3D 역시 여전히 매우 높은 성능을 내주기 때문에, MMO 환경에서는 세 CPU 모두 쾌적하며, 9800X3D가 약간 더 안정적인 최대 프레임과 프레임 유지력을 보여주는 정도의 차이로 요약됩니다.

싱글 플레이 액션 RPG 및 오픈월드 게임

싱글 플레이 위주의 액션 게임이나 오픈월드 RPG는 게임 엔진의 최적화와 GPU 의존도에 따라 CPU 성능 차이가 나타납니다.
CPU 병목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신형 모델들의 이점이 두드러지지만, GPU 부담이 큰 씬에서는 세 CPU 간 체감 차이가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발더스 게이트 3
    • CPU 연산량이 많은 RPG의 경우, 7800X3D 대비 9800X3D의 성능 향상이 무려 25% 이상에 달하는 장면이 포착되었습니다.
      예컨대 벤치마크에서 7800X3D가 120FPS대 중반을 기록한 특정 씬에서 9800X3D는 160FPS 안팎을 유지해 주목받았습니다. (테스터들은 이 격차가 예상보다 커서 여러 차례 재측정했을 정도였습니다.)
      9950X3D는 동일한 장면에서 약 155FPS 수준으로, 9800X3D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게임이 활용하는 스레드 수가 제한적이고, 듀얼 CCD(칩릿) 구성의 9950X3D가 단일 CCD인 9800X3D 대비 약간의 오버헤드가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게이머들의 증언에서도 “게임만 놓고 보면 9800X3D와 9950X3D의 차이는 느끼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 호그와트 레거시The Last of Us Part I
    • 오픈월드 액션 게임의 벤치마크를 보면, 7800X3D -> 9800X3D 업그레이드 시 평균 10~15% 정도 프레임 향상이 나타납니다.
      예컨대 호그와트 레거시에서는 7800X3D가 150FPS 초반대를 보이던 장면에서 9800X3D는 180FPS대까지 상승하여 20% 이상 개선되었고,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1도 약 10% 가량 프레임 향상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향상은 Zen 5 아키텍처의 IPC 개선클럭 상승, 향상된 부스트 지속력 덕분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9800X3D와 9950X3D 간에는 대부분의 싱글 플레이 게임에서 프레임 차이가 0~3% 수준으로 거의 동일했습니다.
      따라서 순수 싱글 게임 성능만 보면 가격이 저렴한 9800X3D쪽이 효율적이며, 9950X3D는 동급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여유 코어를 통해 배경 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따로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뒤의 멀티태스킹 항목에서 다룹니다).

고사양 FPS 및 배틀로얄 게임

FPS 게임에서는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양상이 있습니다.
하나는 e스포츠급의 매우 높은 프레임율을 추구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배틀로얄처럼 규모가 크고 최신 그래픽을 가진 경우입니다.
전자의 경우 CPU 성능으로 수백 FPS를 뽑아내는 게 핵심이고, 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GPU 부하가 커서 CPU 차이가 조금 묻힐 수 있습니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벤치마크에서 7800X3D는 평균 620FPS를 넘는 압도적 성능을 보여주는데, 9800X3D는 약 640FPS 내외로 3~4% 높을 뿐이었습니다.
      이미 600FPS를 넘기는 수준에서는 엔진이나 다른 요소들이 병목이 되기 시작하므로, 사실상 체감하기 힘든 차이입니다.
      9950X3D도 9800X3D와 거의 동일한 최고 프레임을 기록하며, 게임 스레드가 주로 단일 CCD 내에서 처리되는 한 두 CPU의 성능은 겹칩니다.
      이러한 경향은 CS:GO, 오버워치2 등 다른 고FPS 지향 게임들도 비슷합니다. 7800X3D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초고성능을 발휘하며, 9800X3D/9950X3D는 그보다 몇 퍼센트 정도의 추가 여력을 제공하는 수준입니다.
      다만 일부 프로게이머들은 “최대한 지연을 줄이고 프레임을 뽑고 싶다면 최신 9800X3D의 약간의 향상도 의미가 있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지만, 일반적인 플레이에서는 세 CPU 모두 부드럽고 안정적인 프레임을 보여줍니다.
  • 배틀필드 시리즈콜 오브 듀티: 워존, 그리고 최신 스타필드
    • 배틀로얄/대작 FPS 게임에서는 CPU보다는 GPU 부담이 큰 경향이 있지만, 대규모 맵과 물리 연산 때문에 CPU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특히 스타필드의 경우 초기에는 CPU 최적화 이슈가 있었지만 패치를 거치며 개선되었습니다.
      벤치마크 기준으로 7800X3D가 150FPS 안팎을 내는 장면에서 9800X3D는 165FPS 내외로 약 10% 높았고 9950X3D는 170FPS 초반으로 9800X3D 대비 3% 가량 추가 상승했습니다.
      큰 폭의 차이는 아니지만, 프레임 유지력(1% Low) 측면에서는 최신 CPU들이 약간 더 안정적이었습니다.
      실제로 3D V-Cache가 장착된 CPU들은 1% Low 프레임 (프레임 타임 안정성)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어, 갑자기 프레임이 떨어지는 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총평하자면, 현 최신 FPS 게임에서도 7800X3D 이상의 CPU라면 GPU만 받쳐준다면 매우 높은 프레임을 즐길 수 있고, 9800X3D/9950X3D는 거기에 소폭의 상향평준화를 더해주는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략 시뮬레이션 및 CPU 집약적 게임

실시간 전략(RTS),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등은 대체로 CPU 부하가 매우 높고 멀티코어 활용도가 천차만별입니다.
일부 게임 엔진은 단일 코어 성능에 크게 의존해 한계가 있기도 하고, 일부 최신 게임은 다중 코어를 활용하여 물리 연산이나 AI 연산을 병렬 처리하기도 합니다.
이때문에 게임에 따라 세 CPU의 상대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 토탈 워: 워해머3
    • RTS 게임은 대규모 전투에서 CPU 병목이 크게 걸리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사용자들이 공유한 경험에 따르면, 9800X3D로 업그레이드했을 때 Warhammer3의 대규모 전투에서 프레임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실제 벤치마크에서도 7800X3D 대비 9800X3D가 15~20% 이상 성능 향상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병목이 심한 상황일수록 캐시 메모리의 영향이 커서, 방대한 L3 캐시를 갖춘 X3D 시리즈는 병목 해소에 탁월한 효과를 냅니다.
      다만 이 장르는 9950X3D처럼 코어가 많다고 해서 게임 프레임이 직접 비례해서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문명(Civilization) 시리즈의 턴 진행 시간 같은 부분은 멀티코어로 빨라질 수 있지만,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률은 주요 쓰레드 성능에 좌우되기 때문에 9800X3D와 9950X3D는 거의 비슷한 FPS를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 Flight Simulator 2024
    • 시뮬레이션 요소가 강한 게임도 CPU 의존도가 큽니다.
      한 벤치마크에 따르면 MSFS에서 7800X3D -> 9800X3D로 교체 시 약 14% 가량 프레임 상승이 있었는데, 이는 Zen5의 메모리 서브시스템 개선과 IPC 향상 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9950X3D도 비슷한 환경에서 몇 퍼센트 추가 향상이 있겠지만, 게임 내 설정이나 해상도가 GPU에 더 영향을 받는 구간에서는 세 CPU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요컨대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긴다면 7800X3D 이상급 CPU라면 매우 유리하며, 9800X3D는 더욱 쾌적한 성능 여유를 주고 9950X3D는 그 이상으로도 버틸 수 있는 머슬은 있지만 게임 성능 자체는 9800X3D와 비슷한 최고 수준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게임 성능 부문 요약

  • Ryzen 7 7800X3D
    • 2023년 최고의 게이밍 CPU로 인정받았던 만큼, 현재도 거의 모든 게임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다만 최신 세대와 비교하면 평균적으로 10% 내외, 일부 타이틀에선 최대 20%까지 낮은 프레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최상위권의 게임 퍼포먼스를 제공하며, 가격 대비 게임 성능비가 훌륭합니다.
  • Ryzen 7 9800X3D
    • 현 시점 세계 최고의 게이밍 프로세서로 꼽히며, 7800X3D 대비 전반적으로 8~15% 더 높은 FPS를 제공합니다.
      특히 FPS, MMO, RPG 등 장르 불문하고 게임 전반에서 프레임 방어와 최소 프레임 유지력이 뛰어나다는 평가입니다.
      Intel 최고급 CPU들과 비교해도 게이밍에서는 우위를 점하고 있어, 오로지 게임만 본다면 최고의 선택지입니다.
  • Ryzen 9 9950X3D
    • 게임 성능은 9800X3D와 막상막하입니다.
      16코어의 위용이 게임 프레임 자체를 크게 올려주진 않지만, 다른 작업을 병행하거나 게임 외적 계산에서 약간의 추가 프레임 향상(1~3%)을 보여주는 정도입니다.
      따라서 ‘순수 게임용’으로는 가성비가 떨어지나, 게임 성능 자체는 현존 최고 수준입니다.
      한마디로 “게임만 보면 9800X3D = 9950X3D”라 할 수 있습니다.

2. 가격 비교: 출시 가격 및 현재 시세

CPU를 선택할 때 성능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가격입니다.
여기서는 각 제품의 출시 당시 권장가격(MSRP)과 2025년 현재 시장 가격(시세)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출시가는 달러 기준으로 표기하고, 국내 시세는 환율과 유통 상황을 반영한 원화 대략값을 함께 언급합니다.

출처 – 컴퓨존 공식사이트
  • Ryzen 7 7800X3D
    • 출시가: $449 (미국 기준, 한화 약 60만원).
      2023년 출시 당시에는 물량 부족으로 한때 프리미엄이 붙어 국내 초도가 70만원대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 현재 시세: 2025년 들어 공급이 안정되고 신제품 출시로 수요가 분산되면서 가격이 많이 안정되었습니다.
      해외에선 신품 약 $350 수준까지 떨어졌고, 국내도 40만 원대 중반~50만 원대 초반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초기보다 오히려 저렴해져서, 중고 시장에서는 30만원대 후반까지도 가격을 형성하여 가성비가 매우 높습니다.
  • Ryzen 7 9800X3D
    • 출시가: $479 (약 64~65만원).
      2024년 말 출시된 이래 “최고의 게임 CPU” 타이틀로 인기가 높았고, 출시 직후 물량 부족으로 가격이 MSRP보다 높게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국내 초반 실판매가는 70만원 이상으로, 7800X3D와 약 10만원 정도 차이가 났습니다.)
    • 현재 시세: 2025년 중반을 지나면서 공급은 비교적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고가의 제품입니다.
      미국에선 MSRP 수준인 $480 안팎, 국내에선 65만원 내외로 거래되는 중입니다.
      큰 폭의 할인이 이뤄지진 않았지만, 7800X3D가 버티고 있는 덕에 극단적으로 가격이 오르지도 않는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 출시가 대비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에서 안정세를 보입니다.
  • Ryzen 9 9950X3D
    • 출시가: $699 (약 90만 원).
      2025년 3월 출시된 현세대 플래그십으로, 가격이 매우 높게 책정되었습니다.
    • 현재 시세: 출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신제품인 만큼 크게 가격 변동이 없고 MSRP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699~749 사이에 판매되고 있으며, 국내도 100만 원 안팎으로 가장 비싼 소비자용 CPU 중 하나입니다.
      제품 특성상 수요가 제한적이어서 물량 부족 사태는 없었고, 가격이 추가 상승하지는 않았지만 큰 할인도 기대하기 어려운 포지션입니다.
      대부분의 유통사에서 정가에 가까운 금액으로 판매 중이며, 한동안 이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대만 놓고 보면 7800X3D → 9800X3D → 9950X3D로 갈수록 상당한 비용 증가가 있습니다.
특히 9950X3D는 7800X3D의 2배 가까운 가격이므로, 단순히 게임 성능만 본다면 투자 대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가격 대비 성능을 계산해보면 7800X3D를 100으로 볼 때 9800X3D는 성능 약 111%에 가격 107% 수준이라 약간 더 나은 가성비를 보이지만, 9950X3D는 성능 112%에 가격 155% 수준이라 가성비 지표는 낮습니다.
물론 9950X3D는 게임 이외 부가 활용 가치를 고려해야 하는 CPU입니다.
요약하면, 순수 게임 목적이라면 7800X3D나 9800X3D 쪽이 경제적이고 9950X3D는 가격이 높지만 그만큼 특별한 용도를 겨냥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참고: 신제품 출시 후 초기에는 가격 변동과 재고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9800X3D 출시 당시 7800X3D의 가격이 오히려 뛰었던 사례처럼, 재고 부족이나 환율 변화 등에 따라 시세가 출렁일 수 있습니다.
구매 시점에 다나와 가격비교 등을 통해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 전력 소모 및 발열: 효율성과 온도 비교

고성능 CPU일수록 전력 소모와 발열(열 설계) 특성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7800X3D, 9800X3D, 9950X3D는 각각 TDP가 120W, 120W, 170W로 명시되어 있는데, 실제 동작에서의 소비 전력과 온도 양상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출처 – 컴퓨존 공식사이트

전력 소비 특성

  • 게이밍 시 소비전력
    • 일반적인 게임 플레이 중 CPU 소모 전력은 3D V-Cache 기술 덕분에 생각보다 효율적인 편입니다.
      Ryzen 7 7800X3D는 게임 시 평균 60~70W 수준을 소비하고, 피크 부하 상황(예: CPU를 많이 쓰는 게임의 특정 씬)에서도 80~85W 정도까지 올라갑니다.
      Ryzen 7 9800X3D는 세대 향상으로 클럭이 높아졌지만 게임 중 평균 70~80W, 최대 90~95W 정도로 약 10W 정도 더 쓰는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한편 Ryzen 9 9950X3D는 코어가 두 배인 만큼, 게임에서 평균 90~100W 안팎의 전력을 소모하는 장면이 관측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CPU 부하가 높은 스타필드를 실행했을 때 약 98W를 소비하여 1.7 FPS/W의 효율을 보였는데, 이는 동일 장면에서 7800X3D나 9800X3D와 비슷한 수준의 효율입니다.
      요약하면, 게임 환경에서는 세 CPU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으로 높은 성능을 내며, 7800X3D가 가장 적게 먹고 9950X3D가 조금 더 먹는 정도로 차이가 있습니다.
  • 풀로드(렌더링 등) 시 소비전력
    • 3D V-Cache 모델들은 일반 Ryzen 대비 클럭이 살짝 보수적인 덕분에, 전력 제한선 내에서 효율을 추구하는 면이 있습니다.
      7800X3D와 9800X3D 모두 올코어 렌더링 등의 풀로드 작업 시 약 100~120W 수준에서 소비전력이 안정됩니다(패키지 전력 기준).
      9800X3D는 TDP 120W를 거의 다 활용하면서 약간 더 높은 클럭을 유지하기 때문에 7800X3D보다 10W 정도 높게 소비합니다.
      9950X3D는 TDP가 170W로 크게 높아 이러한 작업에서 전력을 한층 많이 끌어씁니다.
      Blender나 3D 렌더링 테스트를 하면 170W에 수렴하거나 가끔 이를 넘어서 180~200W 가까이 순간적으로 찍기도 합니다(PBO 등 자동 오버헤드로 일시적 상승).
      실제 7zip 압축 작업 시 9950X3D가 200W 안팎을 소비한 측정치가 있는데, 이때 단일 코어 CPU 중에서는 최고의 성능을 내면서도 전력 소모도 상당한 편이라 전성비 측면에서는 절반 정도의 코어를 가진 동생들보다 떨어지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16코어의 9950X (논-X3D)가 같은 작업에서 204W를 쓰고도 성능이 낮았던 걸 감안하면, 9950X3D는 같은 작업을 더 적은 전력으로 더 빨리 끝내는 셈이어서 절대적인 효율은 양호한 편입니다.
  • 전성비(Performance per Watt)
    • 재미있는 것은, 게이밍 기준으로 보면 7800X3D가 워낙 낮은 전력으로 높은 성능을 내기 때문에 FPS/W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이라는 점입니다.
      9800X3D는 성능이 올라간 만큼 전력도 약간 늘어나 FPS당 소비전력은 7800X3D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쓰는 수준이며, 9950X3D는 게임만 놓고 보면 약간 효율이 떨어지지만 대신 동일 작업 대비 일반 CPU들보다는 훨씬 효율적입니다.
      한마디로 “전력 대비 성능”에서 봤을 때 3D V-Cache 모델들은 모두 우수하고, 특히 7800X3D는 전력 소모를 낮춰서 사용하는 에코(ECO)모드 튜닝 시에도 꽤 좋은 성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중시하는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발열 및 온도 특성

  • 일반 게임 시 온도
    • 발열은 CPU 코어 수와 소비전력, 쿨러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경향을 보자면, 7800X3D는 게임 플레이 시 60~70℃ 정도의 온도 범위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adequate 공랭/수랭 사용 시).
      9800X3D는 클럭 향상으로 열이 약간 더 발생하지만, AMD가 캐시 적층 구조를 개선하여 발열 제어를 용이하게 만들었습니다.
      Zen5 X3D에서는 3D 캐시 칩을 코어 다이에 접착(플립칩 방식)하는 구조를 바꿔, 캐시를 하부로 배치하고 코어를 히트스프레더(IHS)에 더 가깝게 배치했습니다.
      이 결과 동일 발열에서 더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되었고, 실제로 9800X3D는 65~75℃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7800X3D보다 절대온도는 조금 높지만(약 +5℃ 정도) 클럭이 높은 것을 감안하면 준수한 수준입니다.
      9950X3D는 CCD 2개에 전력 소모도 높다 보니 게임 시에도 70~80℃ 근처까지 온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16코어라 열 분산이 이뤄지는 면도 있어, 올코어 풀로드가 아니면 극단적으로 뜨거워지진 않고 70℃대 중후반에서 관리되는 편입니다. (스타필드 같은 CPU 헤비 게임을 장시간 구동 시 75~80℃ 정도 보고가 있습니다.)
  • 최대 부하시 온도
    • 세 CPU 모두 최대 동작온도(Tjmax)를 89~90℃ 전후로 관리되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이전 세대 7950X3D 등은 89℃ 제한).
      7800X3D는 스트레스 테스트 시 80℃ 안팎에서 쓰로틀링 없이 버티는 경우가 많고, 9800X3D는 83~85℃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9950X3D는 강력한 쿨러 사용 시 90℃ 내로 유지되지만, 기본 쿨링으로는 90℃를 살짝 넘겼다 다시 낮추는 패턴도 보입니다.
      특히 9950X3D는 멀티코어 풀로드 시 쿨링 요구사항이 높아서, 권장 사양은 360mm 일체형 수랭이나 대형 타워 공랭 사용입니다.
      다행히 일반적인 작업이나 게임에서는 극한으로 돌릴 일이 적어 평소 온도는 세 모델 다 양호한 편입니다.
      정리하면, 7800X3D가 가장 서늘하고 9800X3D는 약간 더 따뜻, 9950X3D는 열이 가장 많이 나지만 감당 못 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발열 팁: 9800X3D와 9950X3D는 2세대 3D V-Cache의 개선된 발열 설계 덕분에, 전 세대 대비 온도 대응 능력이 좋아졌습니다.
AMD에 따르면 캐시 재배치로 인해 기존보다 약 6℃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약간 온도가 높게 보여도 이는 정상 범주일 수 있으며, 팬 커브 조정이나 PBO 튜닝으로 온도를 낮추면서도 높은 성능을 끌어낼 여유가 있습니다.


4. 게임 외 활용도: 스트리밍, 영상 편집 등 멀티태스킹 성능

마지막으로, 게임 이외의 활용 측면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고성능 PC를 사용하는 게이머들 중에는 게임 방송(스트리밍)이나 영상 편집/인코딩, 3D 모델링/렌더링, 코딩/개발 등 다양한 작업을 병행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7800X3D, 9800X3D, 9950X3D는 게이밍 특화 CPU이지만 기본적으로 코어 수가 많고 멀티스레드 성능도 뛰어나 이러한 멀티태스킹 시나리오에서의 성능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 게임 + 스트리밍 동시 진행
    • 7800X3D와 9800X3D는 8코어 16스레드 구성으로, 게임을 하면서 OBS로 방송 송출(특히 x264 CPU 인코딩)을 할 경우 모든 스레드를 다 활용하게 됩니다.
      7800X3D도 16스레드로 방송 진행이 가능하나, 배경작업 여유가 적어 일부 최신 게임을 풀옵션으로 돌리며 동시에 CPU 인코딩을 하면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9800X3D는 단일 코어 성능이 높고 전반적인 최적화가 좋아서 동일 조건에서 약간 더 나은 프레임을 유지합니다만, 근본적으로 코어 수 한계는 같습니다.
      반면 Ryzen 9 9950X3D는 16코어 32스레드의 여유 자원을 지니고 있어, 게임용 스레드와 인코딩용 스레드를 분산해도 남는 리소스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고사양 게임을 하면서 방송 송출 프로그램, 채팅창, 음악 재생 등 여러 작업을 동시에 켜도 9950X3D는 부하를 잘 분산시켜 게임 프레임이 크게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실제 사용자들은 “9950X3D로 업그레이드하고 나니 게임하면서 스트림 키면 CPU 여유가 50% 이상 남는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방송이나 녹화를 자주 하는 게이머라면 9950X3D의 다중코어 이점이 크게 느껴질 것입니다. (물론 GPU 가속 인코딩을 사용하면 CPU 부담이 줄긴 하지만, 동시에 채팅관리, 알림 위젯, 녹화 등의 부하도 고려해야 합니다.)
  • 영상 편집 및 인코딩
    • 콘텐츠 크리에이터 작업에서는 코어 수와 멀티코어 성능이 중요합니다.
      Cinebench R24 멀티코어 점수를 보면 7800X3D가 약 14,000점대, 9800X3D는 16,900점 정도로 약 19% 향상되었습니다.
      이는 같은 8코어라도 Zen5 아키텍처의 IPC 향상과 부스트 클럭 유지능력 덕분입니다.
      9950X3D의 Cinebench 점수는 3만 점대를 훌쩍 넘어 9800X3D의 두 배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줍니다.
      실제 영상 편집 프로그램(예: Adobe Premiere Pro)에서 4K 영상을 렌더링할 경우, 7800X3D 대비 9800X3D는 15~20% 가량 인코딩 시간이 단축되고, 9950X3D는 9800X3D 대비도 거의 절반 수준의 시간이면 처리가 끝납니다.
      예를 들어 7800X3D가 5분짜리 4K 영상을 H.264로 인코딩하는데 10분 걸리던 작업을 9800X3D는 8분대로, 9950X3D는 5분 안팎으로 줄여주는 식입니다.
      멀티스레드 스코어에서 9950X3D는 워크스테이션급이기 때문에, 동영상 렌더링, 3D 렌더링, 대용량 파일 압축/추출, 소프트웨어 컴파일 등 순수 연산 작업에서는 비교 대상 없이 압도적인 성능입니다.
  • 크리에이터 작업과 3D V-Cache의 영향
    • 한 가지 유념할 점은, 3D V-Cache 기술이 모든 생산성 작업에 이득을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렌더링이나 영상 필터 적용 등은 주로 연산 유닛과 코어 수에 의존하고, 캐시 메모리의 크기에는 영향을 덜 받습니다.
      이러한 작업에서는 9950X3D와 9950X(논3D)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제 테스트에서도 9950X3D가 일반 9950X 대비 게임 성능은 크게 앞서지만, 영상 인코딩 성능은 거의 동률인 결과가 있습니다.
      반면 압축/압축 해제, 소스 코드 컴파일, 일부 과학 연산캐시 의존도가 높은 생산성 작업에서는 X3D 모델이 이득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PugetBench와 같은 실무 벤치마크 점수를 종합해보면, 9800X3D는 7800X3D 대비 전체 크리에이터 작업 성능이 15~40% 향상되어 게임 외 작업도 더 쾌적하며, 9950X3D는 그 범주를 넘어서서 하이엔드 데스크탑(카운트 증가)의 효과까지 제공합니다.
      요약하자면, 게임 + 전문가 작업을 모두 고려한다면 9950X3D가 단연 최고이며, 게임 위주라면 9800X3D, 가벼운 작업 병행 정도라면 7800X3D도 충분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 멀티태스킹 일반 사용
    • 꼭 전문적인 작업이 아니더라도, 백그라운드에 여러 프로그램을 띄워놓고 게임을 하는 환경이라면 CPU 코어 수가 많을수록 쾌적합니다.
      7800X3D는 8코어로도 윈도우즈 멀티태스킹에 부족함이 없지만, 예를 들어 게임 켜놓은 상태로 디스코드로 친구와 통화하고, 웹브라우저에 유튜브 음악을 재생하고, 몇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켜는 식의 시나리오에서 사용률이 꽤 높아질 수 있습니다.
      9800X3D는 동일 8코어라도 여유 성능이 조금 더 있어서 프레임 저하 가능성이 낮고, 9950X3D는 거의 태스크매니저 CPU 사용률이 30~40%에도 못 미칠 정도 여유가 있습니다.
      윈도우11의 스케줄러도 개선되어 9950X3D의 듀얼 CCD 구조를 잘 활용해, 게임 프로세스는 캐시 많은 CCD에 배정하고 나머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다른 CCD로 분산하는 등 과거보다 최적화된 자원 배분을 보여줍니다.
      이는 과거 7950X3D 초기에는 약간의 설정 필요성이 있었던 것에 비해 향상된 부분으로, 이젠 16코어 X3D도 일반 사용자에게 부담없이 권장할 수 있을 정도로 편의성이 좋아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게임 외 활용 부문 요약

  • Ryzen 7 7800X3D
    • 순수 게임용 + 약간의 부가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8코어로 왠만한 멀티태스킹을 소화하지만, 전문적인 영상 편집이나 헤비한 스트리밍 환경에서는 한계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도 Zen4 8코어의 성능은 과거 HEDT급이어서 일반 유저라면 큰 불편함은 없으며, 전성비도 좋아 발열/소음 관리 측면에서 쾌적합니다.
  • Ryzen 7 9800X3D
    • 게이밍에 중점을 두면서도 가끔씩 방송이나 편집을 하는 사용자에게 안성맞춤입니다.
      7800X3D 대비 싱글/멀티 성능이 모두 향상되어, 게임 성능 희생 없이 영상 인코딩 속도가 빨라지고,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할 때 조금 더 여유를 제공합니다.
      다만 코어 수 증가가 아니므로 절대적인 멀티스레드 성능은 한계가 있습니다.
      방송 + 고사양 게임 동시 구동 시 8코어의 벽은 존재하지만, 이전 세대보다 프레임 방어나 시스템 응답성이 개선된 체감이 있습니다.
  • Ryzen 9 9950X3D
    • 하드코어 게이머이자 스트리머, 혹은 게이밍 겸용 작업용 PC를 원하는 사람에게 최고의 선택입니다.
      16코어 32스레드는 현존 최강급 멀티태스킹 능력을 보여주며, 게임하면서 녹화/편집/방송을 병행해도 거뜬합니다.
      영상 편집, 3D 렌더링 같은 창작 작업 성능도 워크스테이션급으로 뛰어나 따로 작업용 PC가 필요 없을 정도입니다.
      물론 이런 헤비한 작업이 없다면 비용 대비 과분한 제품일 수 있지만, “나는 둘 다 최고로 하고 싶다”면 9950X3D만한 만능도 없습니다.

결론: 어떤 CPU를 선택해야 할까?

지금까지 AMD의 7800X3D, 9800X3D, 9950X3D를 게임 성능, 가격, 전력/발열, 활용도 측면에서 비교해봤습니다.
세 모델 모두 현 시점 최정상급의 게이밍 성능을 제공하며, 기존의 어떤 CPU보다도 뛰어난 프레임률과 응답성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각 제품은 타겟 사용자층과 용도가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PC 활용 패턴과 예산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순수 게임 성능 & 가성비 중시
    • “가장 합리적인 게이밍 CPU”를 찾는다면 Ryzen 7 7800X3D가 지금도 훌륭한 선택입니다.
      가격이 많이 안정되어 비슷한 예산에서 다른 부품(그래픽카드 등)에 투자할 여력을 주면서도, 실제 게임 체험은 상위 모델 대비 거의 손색이 없습니다.
      특히 QHD 또는 4K 해상도로 플레이한다면 GPU가 병목이 되기 쉬워 CPU 차이는 더욱 느끼기 어렵습니다.
      7800X3D는 전력 효율과 발열 관리도 용이해 전체 시스템을 시원하고 조용하게 유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다만 최고의 프레임을 쫓는 하드코어 게이머라면 조금 더 업그레이드 욕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최고의 게이밍 성능 & 최신 기술
    • “난 현 시점 게임 FPS 최고봉이 필요하다”면 Ryzen 7 9800X3D가 정답입니다.
      Zen5 아키텍처 기반의 개선된 IPC와 부스트로 모든 게임 벤치마크 차트를 석권했고, Intel의 어떠한 경쟁 제품보다도 앞선 게임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가격은 다소 높지만, 동일 가격대의 다른 CPU들(예: 13~14세대 Intel Core i9)이 게임에서는 경쟁이 안 될 정도라서, 순수 게임만 본다면 투자 가치가 있습니다.
      또한 이전 세대 대비 작업 성능도 향상되어 올라운드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습니다.
      최신 플랫폼의 향상된 메모리 지원(예: DDR5-6400의 활용) 등 부가 요소도 매력적입니다.
  • 만능 하이엔드 & 타협 없는 성능
    • “게임도 작업도 모두 최고 수준으로”라면 Ryzen 9 9950X3D가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가격 부담이 크고 게임만 놓고 보면 과투자일 수 있으나, 하나의 PC로 방송, 녹화, 편집, 코딩 등 다방면을 아우르는 파워유저에게는 장기적으로 최고의 만족도를 줄 수 있습니다.
      과거엔 게임 성능을 위해 8코어를 선택하고 작업을 포기하거나, 반대로 16코어로 가면 게임 성능이 조금 희생되는 딜레마가 있었지만, 9950X3D는 “16코어이면서도 게임 성능도 8코어 최고급과 동일”한 드림 사양을 이뤘습니다.
      실제로 사용해보면 “이 정도면 몇 년은 업그레이드 생각 안 들 정도로 여유롭다”는 호평이 나오고 있습니다.
      단, 앞서 강조했듯 게임만 할 계획이라면 9800X3D와 프레임 차이가 없으므로 굳이 살 필요는 없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플랫폼 호환성과 업그레이드 경로도 고려할 요소입니다.
다행히 이 세 모델은 모두 AM5 소켓을 사용하므로 동일 메인보드에서 호환됩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 7800X3D로 시스템을 꾸린 뒤 나중에 9950X3D로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메인보드 VRM이나 BIOS 지원만 확인된다면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으니, 예산과 필요에 따라 단계적 업그레이드 전략을 세워봐도 좋겠습니다.

요약하자면 7800X3D는 가성비 게이밍 왕자, 9800X3D는 현역 게이밍 제왕, 9950X3D는 게임도 하는 만능 작업왕으로 부를 만합니다. 😀

어떤 선택을 하시든, 이들 AMD 3D V-Cache CPU와 함께라면 2025년 최신 게임들을 최상의 환경에서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의 용도에 맞는 최적의 CPU를 골라, 만족스러운 PC 라이프를 누리시길 바랍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