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오후 2 커피 한 잔 들고 집에 가는 상상… 다들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주 4.5일제가 실현되면 이건 상상이 아니라 캘린더에 찍힌 새로운 현실 스케줄이 됩니다. 근무시간은 줄었는데 월급은 그대로, 게다가 워라밸은 만렙이라니~! 근로자 여러분들이 언제나 생각해왔던 근로시간의 단축이 다가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주 4.5일제가 어떻게 제도화 되고 있는지, 알차게 풀어드릴게요!

1. 주 4.5일제란?
- 개념 : 주 5일, 40시간은 유지하되 월~목(8h) + 금(4h) 등으로 근무 총량을 36시간 수준까지 조정하거나, 월~목(9h) + 금요일 휴무처럼 시간의 유연한 재배치를 통해서 워라밸을 높이는 유연근무제입니다.
- 최종 목표 : 단계적으로 주 36h => 주 32h (주 4일제)까지 단축해 OECD 평균 이하로 맞추겠다는 정부, 여당의 공약이지요.
2. 근무시간 계산법 (예시를 통해서 3초만에 이해하기!)
요일 | 시나리오 A | 시나리오 B | 누적 시간 |
---|---|---|---|
월~목 | 8 h × 4일 | 9 h × 4일 | 32 h / 36 h |
금요일 | 4 h 근무 | 휴무 (0 h) | 36 h |
합계 | 36 h | 36 h | 동일 |
포인트 : 주 36h 이내면 방식은 회사 자율! 주 40h를 넘기면 기존 연장근로(1.5배 수당)로 전환되니 급여, 노사 협의 필수입니다.
3. 현행 법정 근로시간과 무엇이 다를까?
구분 | 현행 제도 | 주 4.5일제(안) |
---|---|---|
법정 근로시간 | 주 40 h (1일 8 h) | 주 36 h (법 개정 시) |
연장 한도 | +12 h → ‘주 52 h’ 상한 | +12 h → ‘주 48 h’ 상한 예상 |
시행 형태 | 주 5일제 | 유연근무·선택근로 + 법정 단축 |
- 주 52시간 상한은 2018년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확정된 내용입니다.
- 주 4.5일제가 법제화되면, 주 36h를 초과화는 시간은 모두 ‘연장근로’로 취급돼 추가 수당이 붙게 됩니다.
4. 정부 로드맵 (2025. 6월 기준)
단계 | 시기 | 핵심 과제 |
---|---|---|
1단계 | 2025 하반기 |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법’ 제정, 주 4.5일제 시범 지원 |
2단계 | 2026~2027 | 공공부문 확대‧평가, 민간 1000개사 인센티브 |
3단계 | 2028~2030 | 법정 근로시간 주 36 h 개정, 포괄임금제 전면 금지 |
4단계 | 2030 이후 | 주 32 h(주 4일제) 사회적 합의 추진 |
5. 경기도 시범사업 결과 (2025.3~현재)
지표 | 3개월 추이 | 설명 |
---|---|---|
참여 기업 | 68곳 → 68곳 | IT·제조·언론 등 다양 |
주당 평균 근로시간 | 40 h → 34.8 h | -13 % |
직원 만족도 | 71 점 → 88 점 | +17 p |
매출(중소 IT) | 전년比 +25 % | 브레인벤쳐스 사례 |
- 장려금 :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 기업 컨설팅, 시스템 구축비 최대 2,000만원.
- 평가 지표 : 생산성, 직무 만족도 등 44가지, ‘휴머노믹스’ 모델로 분석.
6. 장점 & 단점
장점
- 이직률 하락, 인재유치 상승 (경기도 시범 데이터)
- 저출산, 지역 소멸 대응 -> 가족 시간 확보
- 업무 프로세스 디지털화 촉진 -> 생산성 상승
- 불금 교통, 소비 분산 -> 지역경제 활성화
단점
- 임금 보전 : 36h로 줄면 시급 로직 조정 필요
- 직무 특성 : 제조, 서비스 -> 교대제/주말 근무 재설계
- 중소기업 부담 : 인프라 투자비, 대체 인력 구인난
7. 해외 사례 한눈에
- 벨기에 : 주 4일 38h 선택제
- 아일랜드 : 6개월 시범 후 95% ‘계속 운영’ 결정
- UAE(두바이 공공부문) : 여름철 4일제, 4.5일제 혼합
한국은 주 36h -> 32h의 단계적 접근으로 글로벌 흐름과 속도를 맞추어 나갈거라고 생각합니다.
8. 마무리 – “36시간 시대, 준비되였나요?”
주 4.5일제는 ‘금요일 오후를 삶에 돌려주는’ 정책인 동시에, 생산성 / 저출산 / 지역경제를 한꺼번에 잡으려는 거대한 변화입니다.
- 직장인 : 연차, 반차 모으느라 고생했다면, 이제 제도 변화를 팔로우!
- 기업 HR : 시범사업 컨설팅, 장려금 챙기고, 내부 프로세스 미리 다이어트!
- 정책 담당자 : 2026년 공공 부문 확대 전까지 현장 데이터 확보가 핵심!
여러분 회사의 금요일 퇴근 준비 상황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