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방송 & 영상 녹화를 위한 OBS 입문 가이드 왕초보도 함께 2025

안녕하세요~ 방송을 꿈꾸는 모든 분들!
게임 방송이나 영상 녹화를 시작하고 싶은데, 대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OBS Studio라는 이름을 들어는 봤지만, 복잡해 보이는 설정창에 지레 겁먹고 계시진 않나요?

걱정 마세요!
이 글은 여러분과 같은 초보자를 위해 OBS Studio의 기본적인 용어부터 실제 방송 및 녹화 설정까지, 아주 쉽고 친절하게 알려드리는 입문 가이드입니다.

이 글을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나만의 게임 방송 환경을 멋지게 구축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지금 바로 시작해 볼까요?

게임 방송 & 영상 녹화를 위한 OBS 입문 가이드 왕초보도 함께 2025

목차

1. OBS 스튜디오 당신의 첫 방송 파트너

OBS 소개 – 무료이면서 강력한 OBS의 매력

OBS Studio(Open Broadcaster Software)는 라이브 스트리밍과 화면 녹화를 지원하는 강력한 무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게임 방송 및 영상 녹화 분야에서 전문가와 초보자 모두에게 폭넓게 활용되는 업계 표준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소프트웨어의 가장 큰 강점은 무료임에도 불구하고 유료 프로그램에 버금가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OBS Studio는 Windows, macO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며, YouTube, Twitch, Facebook 등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과 완벽하게 연동됩니다.
사용자 지정이 가능한 장면(Scene)과 소스(Source) 관리, 다중 오디오 채널을 실시간으로 믹싱하는 기능, 그리고 플러그인을 통한 무한한 기능 확장은 OBS를 단순한 캡처 도구 그 이상으로 만듭니다.

이 가이드가 당신에게 필요한 이유

OBS Studio를 처음 실행하면 마주하게 되는 복잡한 인터페이스와 ‘장면’, ‘소스’, ‘인코더’와 같은 낯선 용어들은 많은 초보자에게 막연한 두려움을 안겨줍니다.
이 가이드는 단순히 기능 목록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각 용어의 본질적인 의미부터 이해하고, 초보자들이 흔히 겪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여 해결하는 실용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글의 목표는 독자가 OBS를 단순한 기술적 도구가 아니라,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필수적인 든든한 파트너로 인식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2. OBS 기본기 다지기 – 용어부터 친해지기

장면(Scenes)과 소스(Sources) – OBS의 기본 철학

OBS의 핵심적인 두 가지 개념은 ‘장면(Scene)’과 ‘소스(Source)’입니다.
이 두 개념의 관계를 이해하면 OBS의 복잡해 보이는 인터페이스가 명확하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 장면(Scene) – 장면은 OBS에서 ‘무대’ 또는 ‘콘셉트’에 해당합니다.
    방송 시작 전 ‘인트로 장면’, 게임 플레이 중 ‘게임 화면 장면’, 방송 종료 시 ‘마무리 장면’처럼 방송의 상황에 맞춰 다양한 무대들을 미리 만들어 놓고, 상황에 따라 매끄럽게 전환하여 방송의 흐름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OBS는 무한대로 장면을 생성할 수 있어, 제작자가 원하는 만큼 세밀하고 다채로운 구성이 가능합니다.  
  • 소스(Source) – 소스는 ‘장면’이라는 무대 위에 올라가는 ‘배우’ 또는 ‘소품’입니다.
    즉, 게임 화면, 웹캠 영상, 채팅창, 이미지, 배경음악 등 방송에 송출하고 싶은 모든 개별 요소들을 의미합니다.
    각 소스는 장면 목록에 추가되며, ‘게임 캡쳐’, ‘디스플레이 캡쳐’, ‘비디오 캡쳐 장치’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한 장면에 여러 소스를 추가하여 복합적인 화면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 화면 위에 웹캠 영상과 채팅창을 함께 배치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장면과 소스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OBS의 근본적인 철학을 이해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OBS를 단순한 ‘캡처 도구’가 아닌, 여러 요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디지털 연출 도구’로 바라보게 합니다.
이 개념을 제대로 활용하면 단순한 게임 녹화가 아닌, 게임 플레이와 웹캠, 채팅창, 오버레이 등을 하나의 예술적인 레이아웃으로 엮어내는 창의적인 과정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인코더(Encoder)와 비트레이트(Bitrate) – 방송 화질의 비밀

방송과 녹화의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인코더와 비트레이트입니다.
이 두 개념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PC 성능과 방송 품질 사이의 균형을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인코더(Encoder) – 인코더는 영상과 소리 데이터를 압축하여 파일로 저장하거나 방송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변환기’입니다.
    OBS에서 방송을 시작하면 PC의 데이터를 방송 플랫폼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간 변환하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인코더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하드웨어 인코더 (NVENC, QSV, AMF) – NVIDIA(NVENC), Intel(QuickSync), AMD(AMF) 등 그래픽 카드에 내장된 전용 칩셋을 사용하여 인코딩을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CPU 부담이 거의 없어 게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5% 미만에 불과합니다.
      게임과 방송을 동시에 진행할 때 강력하게 추천되는 방식입니다.  
    • 소프트웨어 인코더 (x264) – PC의 CPU를 사용하여 인코딩을 처리합니다.
      하드웨어 인코더가 없거나 CPU 성능이 압도적으로 우수하여 화질에 더 집중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다만 CPU 점유율이 높아 게임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인코더 선택은 OBS 성능 최적화의 가장 근본적인 결정입니다.
초보자에게는 하드웨어 인코더가 게임과 방송 성능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열쇠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OBS 사용 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문제인 인코딩 과부하(Encoding Overload)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 비트레이트(Bitrate) – 비트레이트는 1초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Kbps(킬로비트) 단위로 나타냅니다.
    비트레이트가 높을수록 화질은 더 선명하고 깨끗해지지만,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 파일 크기가 커지고 네트워크 및 PC에 부하가 커집니다.
    비트레이트 설정은 PC 사양과 인터넷 업로드 속도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FPS와 해상도 – 부드러운 화면을 위한 핵심

  • FPS(Frames Per Second) – 1초에 보여주는 화면의 수입니다.
    일반적으로 60 FPS는 30 FPS보다 훨씬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하지만, 더 높은 시스템 자원을 요구합니다.  
  • 해상도(Resolution) – 화면의 크기를 픽셀 단위로 나타냅니다.
    1920×1080(FHD)은 가장 보편적인 방송 해상도이며, 1280×720(HD)은 시스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해상도입니다.  

FPS와 해상도는 PC 성능, 방송 플랫폼의 권장 사항, 그리고 시청자의 시청 경험이라는 세 가지 축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는 상호 연관성이 있는 설정입니다.
고사양 PC를 사용한다면 1080p 60fps가 최적이지만, 성능이 부족하다면 렉 없이 부드러운 방송을 위해 720p 30fps로 낮추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입니다.
단순히 해상도와 FPS를 높이는 것보다, 자신의 PC 성능에 맞춰 끊김 없는 안정적인 방송을 송출하는 것이 시청자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필수 용어 설명 테이블

OBS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자주 혼동하는 핵심 용어들을 직관적인 비유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용어직관적 비유기능 설명
장면(Scene)방송의 ‘무대’ 또는 ‘컨셉’다양한 소스(배우/소품)를 미리 배치하여 원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고 상황에 따라 전환하는 단위입니다.  
소스(Source)무대 위의 ‘배우’ 또는 ‘소품’게임 화면, 웹캠, 이미지, 텍스트 등 방송에 송출하고 싶은 모든 개별적인 시청각 요소를 의미합니다.  
캔버스(Canvas)소스를 배치하는 ‘작업판’소스를 추가하고 크기, 위치, 비율 등을 조절하여 실제 방송 화면을 디자인하는 미리 보기 영역입니다.  
인코더(Encoder)데이터의 ‘번역가’ 또는 ‘변환기’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파일로 저장하거나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입니다.  
비트레이트(Bitrate)데이터가 지나가는 ‘파이프’의 크기1초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으로, 높을수록 화질은 좋지만 데이터 사용량과 부하가 커집니다.  
FPS(Frames Per Second)‘움직임’의 부드러움1초에 보여주는 화면의 수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영상이 더 부드럽게 보입니다.  
해상도(Resolution)화면의 ‘크기’가로와 세로의 픽셀 수로, 높을수록 화면이 더 선명하고 자세하게 표현됩니다.  

3. 첫걸음 – OBS 설치부터 필수 설정까지

공식 웹사이트에서 OBS 설치하기

OBS Studio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장 안전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OBS 공식 홈페이지(obsproject.com)에 접속하여 사용 중인 운영체제(Windows 10/11, macOS, Linux)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안내에 따라 ‘Next’, ‘Install’ 버튼을 클릭하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자동 설정 마법사 활용하기

OBS를 처음 실행하면 ‘자동 구성 마법사’가 자동으로 팝업됩니다.
이 마법사는 사용자의 PC 성능을 분석하여 방송 또는 녹화 목적에 맞는 최적의 설정을 자동으로 추천해줍니다.
기술적 지식이 부족한 초보자가 복잡한 설정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빠르게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전문가의 조언처럼, 일단 마법사가 제안하는 설정을 먼저 사용해 보고, 문제가 발생할 때만 세부 설정을 변경하는 ‘점진적 학습’ 전략을 제안합니다.  

수동 설정 가이드 – 녹화/방송을 위한 최적화

자동 구성 마법사로 충분한 결과를 얻지 못했거나, 세부 설정을 직접 조정하고 싶다면 수동 설정 방법을 따를 수 있습니다.
OBS 우측 하단의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세부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출력 설정 – 녹화 경로와 파일 형식 정하기

‘설정’ > ‘출력’ 탭으로 이동합니다.
초보자도 더 많은 제어권을 가질 수 있도록 ‘출력 방식’을 ‘단순’ 모드에서 ‘고급’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녹화 설정: ‘녹화’ 탭을 선택합니다.
    ‘녹화 경로’에서 저장 위치를 지정하고, ‘녹화 형식’은 호환성이 좋고 편집이 용이한 mp4를 권장합니다.
    인코더는 앞서 설명한 대로 자신의 PC에 맞는 하드웨어 인코더(NVENC, QSV)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x264)를 선택합니다.  
  • 방송 설정: ‘방송’ 탭을 선택합니다.
    ‘서비스’에서 YouTube, Twitch 등 사용하고자 하는 플랫폼을 선택합니다.
    플랫폼 계정의 ‘스트림 키’를 복사하여 ‘스트림 키’ 입력란에 붙여넣으면 OBS와 플랫폼이 연결됩니다.
    스트림 키는 외부에 노출되면 해킹의 위험이 있는 민감한 정보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비디오 설정 – 해상도와 FPS 조정하기

‘설정’ > ‘비디오’ 탭에서 해상도와 FPS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기본(캔버스) 해상도: OBS 작업 화면의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 출력(축소) 해상도: 실제 방송이나 녹화 파일의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 캔버스 해상도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일반 FPS: 초당 프레임 수를 설정합니다.
    PC 사양과 콘텐츠 종류에 따라 60 또는 30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비트레이트 권장 설정 테이블

비트레이트는 PC 성능, 인터넷 속도, 그리고 원하는 영상 품질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하는 중요한 값입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상황에 따른 권장 비트레이트 설정입니다.  

해상도/FPS권장 비트레이트 (Kbps)비고
1080p, 60 FPS4,500 ~ 9,000고사양 PC 및 빠른 인터넷 속도에 적합. 최고 화질 방송용.  
1080p, 30 FPS3,000 ~ 6,000중급 PC 및 안정적인 인터넷 속도에 적합.  
720p, 60 FPS2,500 ~ 5,000중급 PC에 적합. 렉 없이 부드러운 방송을 원할 때.  
720p, 30 FPS1,500 ~ 4,000저사양 PC에 적합. 최소한의 끊김 없이 안정적인 방송을 원할 때.  
녹화용15,000 ~ 20,000방송보다 높은 비트레이트를 설정하여 원본에 가까운 고화질 녹화 가능.  

4. 나만의 방송 화면 만들기 – 장면과 소스 활용법

OBS 설치와 기본 설정을 마쳤다면, 이제 ‘장면’에 ‘소스’를 추가하여 나만의 방송 화면을 만들어 볼 차례입니다.

게임 화면을 담는 ‘게임 캡쳐’의 모든 것

OBS에서 게임 화면을 송출하는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게임 캡쳐’ 소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소스는 오직 게임 창만을 인식하여 캡처하므로, 방송에는 게임 화면만 보이고 실제 게임 플레이에는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게임 캡쳐 소스를 추가하려면, OBS 메인 화면의 ‘소스 목록’ 하단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고 ‘게임 캡쳐’를 선택합니다.
‘모드’ 항목에서 ‘특정 창 캡처’를 선택한 후, ‘창’ 드롭다운 메뉴에서 현재 실행 중인 게임을 선택하면 됩니다.  

모니터 전체를 녹화하는 ‘디스플레이 캡쳐’

‘디스플레이 캡쳐’ 소스는 모니터에 보이는 모든 화면을 캡처합니다.
웹 서핑, 소프트웨어 튜토리얼, 강의 영상 등을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소스 목록에서 ‘+’ 버튼을 누르고 ‘디스플레이 캡쳐’를 추가하면 현재 사용 중인 모니터 화면 전체가 OBS 화면에 나타납니다.
‘커서 캡쳐’를 체크하면 마우스 커서도 함께 녹화됩니다.  

자신을 담는 ‘비디오 캡쳐 장치’

자신의 모습과 표정을 시청자에게 보여주고 싶다면 ‘비디오 캡쳐 장치’ 소스를 추가하여 웹캠이나 캡처보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소스 목록’ 하단의 ‘+’ 버튼을 누르고 ‘비디오 캡쳐 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웹캠 장치를 연결합니다.  

소스가 추가되면 미리 보기 화면인 ‘캔버스’에서 웹캠 영상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Alt’ 키를 누른 채 모서리를 드래그하면 화면을 자르는(크롭) 기능이 활성화되어 원하는 부분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소스 배치가 완료되면 소스 목록 옆의 자물쇠 아이콘을 클릭하여 소스를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송사고를 막는 ‘장면 전환’과 ‘단축키’

‘장면 전환’은 미리 만들어 둔 장면들을 부드럽게 전환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방송의 완성도를 높여줍니다.
‘장면 전환’ 목록에서 원하는 효과(예: 페이드, 컷)를 선택하고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정’ > ‘단축키’ 탭에서 단축키를 설정하면 마우스 클릭 없이 키보드만으로 녹화 시작/중단, 장면 전환 등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장면, 소스, 단축키는 마치 연극의 ‘연출팀’과 같습니다.
이 세 요소를 유기적으로 활용하면 게임 플레이와 별개로, 시청자에게 흥미로운 ‘방송적 재미’를 선사할 수 있습니다.  

5. 쾌적한 방송 환경 구축 – 오디오 심화 설정

성공적인 방송의 절반은 좋은 오디오에 달려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시청자에게 편안한 소리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시청자는 약간 낮은 화질은 용서하지만, 불편하거나 거슬리는 소리는 참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디오 믹서의 역할과 주요 설정

OBS의 ‘오디오 믹서’ 패널은 방송에 송출되는 모든 오디오 소리가 모이는 곳입니다.
데스크탑 오디오(컴퓨터에서 나오는 모든 소리)와 마이크/보조 오디오(마이크를 통해 들어가는 목소리)가 기본으로 보이며, 각 소스의 볼륨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처럼 마이크 소리 다듬기 – 필터의 세계

마이크 볼륨이 너무 작거나 크거나, 주변 잡음이 심할 경우 OBS의 필터 기능을 활용하여 소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믹서에서 마이크 소스 옆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한 후 ‘필터’를 선택하면 다양한 오디오 필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노이즈 게이트 vs. 소음 억제 (Noise Gate vs. Noise Suppression)
    • 소음 억제(Noise Suppression) – PC 팬 소리나 에어컨 소리처럼 일정한 잡음을 자동으로 줄여주는 필터입니다.
      초보자에게 가장 쉬운 방법으로, 간단한 슬라이더 조절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소음 억제 강도가 너무 높으면 목소리까지 왜곡될 수 있습니다.  
    • 노이즈 게이트(Noise Gate) – ‘개방 역치값’과 ‘폐쇄 역치값’을 설정하여 소리가 일정 데시벨 이하일 때 마이크 입력을 아예 차단하는 필터입니다.
      말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모든 잡음을 완벽하게 없애주지만, 초보자에게는 설정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소음 억제를 먼저 적용해 본 후, 효과가 부족할 경우 노이즈 게이트를 추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컴프레서(Compressor) – 소리의 강약 조절
    • 컴프레서는 소리의 볼륨 차이를 줄여주는 필터입니다.
      목소리가 너무 작거나, 소리를 지를 때 볼륨이 갑자기 튀는 것을 막아주어 볼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킵니다.  
    • 주요 설정값
      • 임계값(Threshold) – 컴프레서가 작동을 시작하는 최소 볼륨 수치입니다.
        이 값 이상으로 소리가 커지면 압축이 시작됩니다.  
      • 비율(Ratio) – 임계값을 넘어선 소리를 얼마나 압축할지 결정합니다.
        3:1 또는 4:1과 같이 적당한 비율을 권장합니다.  
      • 공격 시간(Attack Time) 및 해제 시간(Release Time) – 압축이 시작되고 끝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적절한 지연 시간을 설정하여 소리가 부자연스럽게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컴프레서는 음성 볼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시청자가 이어폰을 쓰고 있어도 귀가 아프지 않게 만드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상적인 오디오 밸런스 – 내 목소리, 게임 소리, 배경음악

오디오 믹서의 볼륨 미터는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구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색상을 활용하여 오디오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오디오 밸런싱은 ‘내가 듣기 편한 소리’가 아닌, ‘시청자가 듣기 편한 소리’를 만드는 과정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노란색 구간 – 목소리가 위치해야 할 이상적인 영역(-15dB ~ -9dB)입니다.
    방송의 핵심인 목소리가 가장 명확하게 들리도록 이 구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초록색 구간 – 게임 소리(-25dB ~ -20dB)와 배경음악(-30dB ~ -25dB)이 위치하는 영역입니다.
    목소리보다 낮은 볼륨으로 설정하여 방송의 핵심인 목소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합니다.  

6. 초보자 필수! OBS 문제 해결 및 최적화 전략

OBS를 사용하면서 흔히 마주치는 세 가지 주요 문제와 그 해결책을 단계별로 제시합니다.

[문제 #1] OBS 게임 캡쳐 시 검은 화면이 나와요

  • 원인 – 권한 부족, GPU 충돌, 호환성 문제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합니다.  
  • 해결책 (순차적으로 시도)
    1.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가장 먼저 OBS Studio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이는 OBS가 게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2. GPU 전환 – PC에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이 모두 있을 경우, 게임은 외장 그래픽(고성능)을 사용하지만 OBS는 내장 그래픽(통합)을 사용하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 ‘고급 그래픽’으로 이동하여 OBS Studio를 ‘고성능’으로 설정하고 외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도록 전환합니다.  
    3. 호환성 모드 활성화 – OBS가 현재 운영체제와 호환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
      OBS 실행 파일의 ‘속성’ > ‘호환성’ 탭에서 ‘호환 모드에서 이 프로그램 실행’을 활성화하고 운영체제를 선택해 봅니다.  

[문제 #2] 방송/녹화 시 소리가 안 들려요

  • 원인 – OBS 음소거, 오디오 장치 설정 오류, 드라이버 문제 등이 있습니다.  
  • 해결책 (순차적으로 시도)
    1. 볼륨 믹서 확인 – Windows 작업 표시줄의 스피커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볼륨 믹서 열기’를 선택합니다.
      OBS Studio 항목의 스피커 아이콘이 음소거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음소거되어 있다면 해제합니다.  
    2. OBS 오디오 설정 확인 – OBS ‘설정’ > ‘오디오’ 탭에서 ‘데스크탑 오디오’와 ‘마이크/보조 오디오’가 올바른 장치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문제 #3] 방송이 계속 끊기거나 렉이 걸려요

  • 원인 – ‘인코딩 과부하’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이는 CPU/GPU 성능 부족, 네트워크 문제, 다른 프로그램과의 충돌로 발생합니다.  
  • PC 성능 최적화: CPU/GPU 과부하 해결하기
    1. OBS 설정 조정 – ‘설정’ > ‘비디오’ 탭에서 출력 해상도 및 FPS를 낮추거나, ‘출력’ 탭에서 인코더 프리셋을 ‘고속’이나 ‘초고속’으로 변경하여 CPU 사용량을 줄입니다.  
    2. 하드웨어 인코더 사용 – x264(소프트웨어) 대신 NVENC, QuickSync와 같은 하드웨어 인코더를 사용하면 인코딩 부담을 GPU로 옮겨 CPU의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3. PC 환경 개선 –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작업 관리자에서 OBS의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높음’으로 설정하며, Windows ‘게임 모드’를 끄는 것을 권장합니다.  

문제 해결 요약 테이블

문제 유형가능한 원인주요 해결책
게임 캡쳐 시 검은 화면권한 부족, GPU 충돌, 호환성 문제1. 관리자 권한으로 OBS 실행
2. 고성능 그래픽 카드로 GPU 전환
3. 호환성 모드 활성화  
방송/녹화 시 소리 없음OBS 음소거, 오디오 장치 설정 오류1. Windows 볼륨 믹서에서 OBS 음소거 해제
2. OBS 설정에서 올바른 오디오 장치 선택  
방송/녹화 끊김 및 렉인코딩 과부하 (CPU/GPU 성능 부족)1. 출력 해상도/FPS 낮추기
2. 하드웨어 인코더 사용
3.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
4. OBS 프로세스 우선순위 높이기

결론 – OBS와 함께하는 즐거운 여정의 시작

이 가이드에서 제시된 설정값과 해결책은 독자의 즐거운 창작 활동을 위한 시작점일 뿐, 정답은 아닙니다.
PC 사양, 게임 종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설정은 모두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좋은 설정은 끊임없는 시행착오와 테스트를 통해 독자 스스로 찾아가는 과정에서 발견됩니다.

OBS는 녹화와 방송이라는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 가상 카메라 기능이나 화면 확대/축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가진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OBS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콘텐츠를 창작하는 즐거운 여정을 시작하기를 바랍니다.
이제 OBS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콘텐츠 제작이라는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당신의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